You might like
toss.im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Simplicity
토스가 디자인 툴을 만든 이유 | UX Engineering Team Leader · 조유성 | 스케치, 피그마, 프레이머 다 써봤지만 우리와 딱 맞진 않았죠. 그래서 만들었습니다. 토스만의 디자인 툴, 데우스.
네이버 BAND FE팀에서 개발자를 구인하고 있습니다 😀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도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recruit.navercorp.com/rcrt/view.do?a…
이전 글에서 JS의 쓰면 안 되는 문법 중 하나인 with의 개념을 정리하였는데요. 이 with문은 무려 1996년에 생겼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 새로운 메서드 관련한 문제를 만들었고, 2016년 잘 알려진 심볼을 추가시켰습니다. 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witch.work/posts/javascri…
witch.work
JS 탐구생활 - 말썽쟁이 with문과 Symbol.unscopables 연대기
with문이 실제로 문제를 일으킨 적이 있었다. 그 이유와 그 이후에 대해 알아보자.
You know what, let's use @Tan_Stack Query instead of the Router's built in loaders... with zero sacrifice to SSR Pictured: - Teaching the router how to SSR a Query Client - Route + Query - Serialized query client in the client Pretty sweet, but we're about to take it even…
.@Tan_Stack Router's new data serialization and streaming architecture logs your serialized payloads to the client in dev mode, so you can actually see the data and scripts coming in from the stream to resolve or enqueue on the promises and streams on the client. Kinda fun!
나름대로의 분석은 그러하고. naive하게 보면 FE 개발자들은 자바스크립트/타입스크립트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하고 싶은 거지 Haskell 따위의 언어를 알고 싶지 않은 것이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함.
Some thoughts on the suspense changes from 19 RC. Most important: our bad. We got this one wrong, and we heard and sincerely appreciate your feedback. We'll hold the 19 release until we find a good fix.
I'm *very* thankful that React rolled back the v19 suspense gate and were willing to work with us. I think the future is as bright as ever. Now, this is where I want to go next: I'm increasingly concerned how much React is pushing render-as-you-fetch (hoisting+preloading) as…
애플워치 쓰면서 달리기 하시는 분들 요 설정 따라해보세요 저는 달리기 누르자마자 존 1-5 보이게 + 존2 벗어나면 진동 오게 설정해놨슴다 페이스 떨어지면 진동 알림오는 페이스 메이커 기능도 마라톤 같은데서 꽤 유용한듯 해요 youtu.be/ALcPITp1DKc?si…
youtube.com
YouTube
애플워치 러닝 제대로 쓰는 방법! 🏃🏻♂️존2 러닝, 페이스 메이커, 인터벌 러닝 설정법! [4K]
근데 모든 잔소리가 "마이크로 매니징"은 아님. 그냥 상당한 갈등은 서로의 나르시시즘 영역이 부딪치거나, 갈등 조절 유형이 부딪치는 거지. (관계적 문제) 정작 중요한 갈등, 즉 "업무 사안"은 근처에 가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음. 마이크로매니징이라는 "이름붙이기"에 서로 헛발질 말고
useSyncExternalStore() is a good hook to learn when you're using browser state in your components Doing this manually with useState() and useEffect() can be tricky to get working correctly with concurrent React react.dev/reference/reac…
어제 팀(@daangnteam)에 #ReScriptRetreat2024 참석 후기차 그 동안의 오픈소스 활동과 @rescriptlang 기여로부터 배운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bit.ly/rescript-open-…
웹사이트 성능 개선을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아무래도 이미지 레이지 로딩이 아닌가 싶은데요. loading="lazy"만 붙이면 끝이니까요.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 JS Code Tips So far the two most efficient methods I found for accessing all nodes of a recursive tree structure. (Very useful)
경험상 "premature optimization"보다 "premature abstraction"이 더 자주 본 것 같다. 간혹 코드의 추상화를 통해 자기 실현을 이루려고 하는 장인 정신을 보기도 하는데, 대부분 미래의 자신과 팀원의 고통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정말 많이 본거 같다.
United States Trends
- 1. Grammy 443K posts
- 2. Vesia 3,359 posts
- 3. #FliffCashFriday 2,518 posts
- 4. Dizzy 11.1K posts
- 5. #drwfirstgoal N/A
- 6. James Watson 12.5K posts
- 7. Georgetown 2,290 posts
- 8. Capitol Police 15.7K posts
- 9. Thank a Republican 1,075 posts
- 10. Collar 14.4K posts
- 11. Dylan Edwards N/A
- 12. Myles Rice N/A
- 13. Silver Slugger 10.8K posts
- 14. NBA Cup 5,521 posts
- 15. Kansas 23.1K posts
- 16. Darryl Strawberry 1,836 posts
- 17. Chase 85.7K posts
- 18. Filibuster 376K posts
- 19. MANELYK EN COMPLICES 17K posts
- 20. Laporta 14.8K posts
You might like
Something went wrong.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