おすすめツイート
젊을 때는 친구가 없다는 걸 부끄러워했다. 지금은 아무렇지 않다. 오히려 당당히 친구 별로 없다고 말한다. 친구가 없어도 괜찮다는 건 내가 내 삶을 내 방식으로 살고 있는 증거다. 그런 삶을 사는 나를 내가 좋아한다는 증거다 .
심리학에 따르면, 하루의 첫 10분 감정이 그날 전체 기분을 결정합니다. 아침에 본 뉴스, 대화, 얼굴 하나가 온종일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아침에 좋은 걸 보는 게 중요합니다.
어떤 작가가 내게 조용히 말했다. “진짜 좋은 사람은, 상대가 나쁜 사람이 되지 않게 말해요.” 말의 방식이 관계의 품격을 결정한다고 했다. 그 말이 내 태도를 돌아보게 했다. 나도 상대를 지키는 방식으로 말하고 싶어졌다.
예전에 한 선배가 말했다. “사람은 좋아하는 걸로 파악하지 말고, 어디서 화내고 무엇을 불편해하는지를 봐. 그게 경계고, 상처고, 정체성이야" 이에 난 조금 다른 생각을 했다. 다정도 지능 이유는 이런 상대의 경계와 상처를 읽어내고 이를 건드리지 않으려 배려하기 때문이라고.
모든 사람과 친해질 필요는 없다. 결이 맞는 사람. 비슷한 길을 걷는 사람. 서로 이해해 줄 수 있는 사람만 곁에 있어도 충분하다. 결국 남는 건 마음이 통하는 사람들이다.
요즘은 ‘가만히 있는 것’도 스킬이다. 섣부르게 조언하고 괜히 말 옮겨서 문제만 키우기도 한다. 작은 공감과 함께 고개만 끄덕여도 웬만한 평화는 지켜진다. 나이가 들수록 조용히 지혜를 쓴다.
나이 들수록 관계가 줄어드는 건, 사람을 가려서가 아니라 나를 지키기 위해서다. 덜 만나고 덜 얽히는 게 이제는 편하기 때문이다. 물론, 체력이 떨어져서 어차피 많은 사람 보기 힘든 것도 있다.
기대가 적을수록 관계는 오래간다. “이 정도는 해주겠지” “내가 했으니 너도 해줘야지” "말 안해도 이해하겠지" 그렇지 않다. 모든 사람이 다 내 마음 같지는 않다. 기대를 줄이면 오히려 관계는 더 좋아진다.
맞춰주던 사람이 결국 떠난다. 처음엔 “이 정도야 뭐” 나중엔 “이번에도 내가 참지 뭐” 그러다 결국 마음이 고장 나고 말없이 뒤돌아 멀어진다. 남은 사람은 상대가 왜 떠났는지 알지 못한다.
인생은 결국 뻔한 걸 버틴 사람이 이긴다. 매일 일어나서 일하고 잘 자고, 수양하고, 운동하고 그 단순한 걸 계속 하는게 어렵다. 그래서 평범한 게 제일 비범한 게 된다. 꾸준함은 결국 뻔함을 견딘 능력이다.
운동 후에 멍해질 때가 있죠. 그건 아무 생각이 없는 게 아니라 마음이 잠시 쉬고 있는 거예요. 잡생각이 줄고, 불안이 가라앉고, 몸이 제자리를 찾을 때, 비로소 마음도 따라오는 법이에요. 운동은 마음을 쉬게 해 주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가끔은 너무 많이 생각해서 스스로를 지치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게 맞을까, 저건 틀릴까, 끝없이 머릿속을 맴도는 날들. 하지만 잘하는 사람들의 비밀은 의외로 단순하죠. ‘쓸데없는 생각할 시간에 그냥 하는 것.’ 결국 멀리 가는 사람은 남들이 고민할 시간에 한 걸음 더 내딛는 사람이에요.
가끔 그런 날이 있죠. 뭘 해도 부족해 보이고, 스스로를 의심하며 자꾸 비교하게 되는 날.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때 누군가는 당신을 보며 이렇게 말합니다. “어떻게 저렇게 다 해내지?” 우린 늘 자기 자신에겐 인색하지만, 누군가의 눈엔 이미 충분히 대단한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결국 다 돌아오죠. 선의는 선의로 돌아오고, 악의는 악의로 돌아옵니다. 시간차가 있을지는 몰라도 세상 이치는 대체로 그렇습니다. 좋은 마음을 가지는게 나에게 좋습니다.
체력 좋은 사람이 성격도 좋아요. 체력 좋은 사람은 자신의 컨디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죠. 쉽게 기분이 성격이 되지 않습니다. 꾸준히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는 사실 성격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기도 해요.
다정한 사람은 다정한 사람에게 끌립니다. 다정한 사람을 만나 나는 더 다정한 사람이 됩니다. 그렇게 우리는 서로를 닮아갑니다.
남들보다 늦게 피면 오래 간다. 빨리 피는 꽃이 일찍 시들기도 하니까. 누구에게나 결국 좋은 계절이 온다. 나는 반드시 그렇게 될 거라고 믿는다.
최고의 직장 생활 조언은 이 글이죠 . ‘있다고 다 보여주지 말고, 안다고 다 말하지 말고, 가졌다고 다 빌려주지 말고, 들었다고 다 믿지 말고.’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 있는 구절입니다. 현대 직장 생활에도 잘 맞는 격언이라고 생각해요.
United States トレンド
- 1. #StrangerThings5 173K posts
- 2. Thanksgiving 640K posts
- 3. Reed Sheppard 4,096 posts
- 4. Afghan 260K posts
- 5. robin 74.9K posts
- 6. BYERS 35.1K posts
- 7. Podz 3,506 posts
- 8. holly 54.9K posts
- 9. National Guard 634K posts
- 10. Gonzaga 8,133 posts
- 11. Dustin 85.8K posts
- 12. #AEWDynamite 21.2K posts
- 13. Amen Thompson 1,517 posts
- 14. Michigan 77.4K posts
- 15. Erica 14.1K posts
- 16. Tini 8,341 posts
- 17. Rahmanullah Lakanwal 98.8K posts
- 18. hopper 13.5K posts
- 19. Jonathan 69.5K posts
- 20. Will Richard 2,097 posts
おすすめツイート
-
페이서스코리아
@PacersKorea -
James LEE
@Drjames1177 -
생각노트
@insidestory_kr -
Martius
@esprecchiato -
Dan Musk
@danmusk4680 -
머니트레이닝
@money_training_ -
용서
@sangwan_yoseph -
이코노마카세
@economakase -
Moomini
@moomini00 -
Detaro
@Detaro7 -
책 읽는 호냥
@bookholic_bot -
얌-_-^
@orrrrorrrorror -
오주안
@ojuanInvest -
Kana
@kana_option -
S H I N E
@Shine__gp
Something went wrong.
Something went wrong.